천원짜리 지식창고

[LGU+] 모르면 손해인 스마트폰 요금 25% 할인 받는 방법(같은 휴대폰 2년 이상 쓰고 있는 사람은 확인필수!)

1천원 2023. 2. 14. 23:00
반응형

휴대폰을 바꾼지 2년이 지났고 SKT, LGU, KT 요금제를 사용하는 분이라면 25% 약정할인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걸 모르시는 분들은 갑자기 휴대폰 요금이 많이 나온다든지, 아니면 휴대폰 요금이 증가한지도 모른채 할인이 안들어간 요금을 전부 내시고 있을텐데요. 스마트폰 통신요금 약정은 최대 2년이기 때문에 휴대폰을 사용한지 2년이 지난 분들은 꼭꼭 확인하시고 요금 할인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LGU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약정할인 받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약정할인이란?

SKT, LGU, KT 통신사의 통신요금을 1년 혹은 2년 동안 사용하기로 계약하고 단말 통신요금의 25%를 할인해주는 제도 입니다. 1년 혹은 2년 간의 약정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통신사를 이동하는 경우는 당연히 위약금을 물게 됩니다. 스마트폰을 사고나서 2년이 지났는데, 아무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25% 할인을 받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꼭 확인해보셔야합니다.

  • 1년과 2년 기간에 상관없이 할인율은 25%로 동일합니다. 저는 가족 모두 같은 통신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년으로 설정하는 편입니다. 당연히 1년으로 설정하는 경우 매년 새로 계약을 해줘야합니다.
  • SKT, LGU, KT통신사에만 해당되는 내용으로 알뜰폰 가입자는 할인을 받을 수 없습니다.

 


LGU+ 스마트폰 요금제 어플로 25% 약정할인 받는 방법

SKT, KT 요금제 사용자도 고객센터 어플에서 "약정"을 검색하면 동일한 내용이 나올텐데요. 오늘은 LGU 내용을 전달드리고, 기회가 된다면 추후에 SKT, KT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당신의 U+(고객센터) 어플을 실행한 뒤 빨간색 네모로 표시한 메뉴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은 메뉴에서 마이페이지 > 내 가입정보 조회 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3. 나의 현재 가입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 다시 빨간색으로 표시한 상세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4. 다음 화면에서 천천히 스크롤을 내리면 할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저는 2022년 12월 17일에 2년 약정할인을 신청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2024년 12월 16일에 만기가 됩니다. 이미 약정된 상태인 분들은 이렇게 확인하실 수가 있고요. 다음 화면에서 더 자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요금 약정이 되지 않은 상태라면 선택 약정 할인 신청하기 > 버튼을 눌러 약정신청을 해주면 됩니다.

 

- 약정 위반 시에 위약금은 할인받은 금액 + @ 를 내야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통신사가 자주 바뀌는 분이라면 1년으로 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5. 왼쪽 화면에서 아래쪽에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오른쪽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 박스를 클릭해서 번호를 선택해주시고 신청 가능 여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본인인증, 약정기간 선택만 하면 간편하게 요금제 계약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쉬운 방법으로 25%의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답니다. 꼭 챙겨야겠죠?

 


휴대폰 요금 청구금액 확인

 

약정신청을 잘 마치셨다면 요금 청구서에서 아래 사진처럼 25% 약정할인 내역이 찍히는 것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6만 5천원 요금제 기준으로 1만 6천원이나 할인이 되니 안받으면 정말 손해입니다. 갑자기 스마트폰 요금이 많이 나올 때, 스마트폰을 사용한지 2년이 넘었을 때 꼭 확인해보시고 매년 잊지말고 약정 갱신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