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짜리 지식창고

올 여름 전기요금 절약하려면? 에어컨 이렇게 트세요!

1천원 2023. 6. 4. 01:22
반응형

날은 갈수록 더워지는데 훌쩍 올라버린 공공요금에 이번 여름 전기요금 걱정이 많으실 거 같습니다. 그런데 에어컨도 종류에 따라 올바른 가동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잘 모르셨던 분들을 위해 오늘은 돈을 절약할 수 있는 올바른 에어컨 가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리집 에어컨 작동방식(정속형, 인버터형) 구분하기

- 정속형 에어컨 가동방법

- 인버터형 에어컨 가동방법

 


우리집 에어컨 작동방식(정속형, 인버터형) 구분하기

에어컨은 실외기 작동방식에 따라 정속형과 인버터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정속형은 단어 그대로 속도가 일정하다는 뜻입니다. 에어컨 설정온도에 관계없이 실외기가 일정하게 돈다는 뜻으로 설정온도에 따라 속도가 조절되는 인버터형에 비해 기본적으로 전기요금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정속형과 인버터형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쉬운 순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에너지소비효율등급으로 구분하기

에어컨 작동방법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가전제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스티커가 에어컨에도 붙어있을텐데요. 이 스티커가 빨간색 숫자, 즉 5등급이면 정속형에어컨입니다.

 

2. 생산연도로 구분하기

그 다음 방법은 생산연도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버터형 에어컨이 2011년도부터 출시되었고, 본격적으로 대중화 된 것은 2015년도 즈음부터라고 합니다. 그래서 2015년 이전이라면 정속형에어컨을 의심해 볼 수 있고, 2011년 이전이라면 아예 정속형에어컨이라고 생각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3. 냉매로 구분하기

에어컨에 사용되는 냉매는 구냉매(r-22)와 신냉매(r-410a)로 구분되는데요. 이 정보는 에어컨에 붙은 스티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속형에어컨에 구냉매, 인버터형에어컨에 신냉매를 사용한다고 알려져있는데 최근에는 정속형에어컨에도 신냉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냉매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4. 냉방 능력으로 구분하기

에어컨에 붙은 모델정보를 알 수 있는 스티커에 냉방 능력이 최소, 중간, 정격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면 인버터에어컨 입니다. 정속형 에어컨은 한 가지로만 표시되어있습니다.

왼) 정속형, 오) 인버터형

 


정속형에어컨 가동방법

이번엔 정속형 에어컨 가동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속형 에어컨은 인버터형 에어컨에 비해 가격이 싼 대신에 전력을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희망온도를 아예 낮게 해서 세게 틀어두고 시원해지면 꺼두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기본적으로 1시간 가동 - 3시간 휴식과 같이 간격을 두어서 작동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인버터형에어컨 가동방법

인버터형 에어컨은 정속형 에어컨과 같이 껐다켰다를 반복하게 되면 오히려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됩니다. 인버터형 에어컨은 실내온도에 따라 실외기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희망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는 것보다는 적정온도(24도 ~ 26도)에 맞추어 두고 계속 켜두는 것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에어컨의 구동방식(정속형, 인버터형)을 구분하는 방법과 구동방식에 따른 올바른 에어컨 가동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집에 있는 에어컨을 확인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해서 전기요금을 아껴보세요. 올 여름 시원하게 나시길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