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짜리 지식창고

무려 연 7~8%대의 금리효과를 볼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소개(조건, 은행별 금리, 신청기간)

1천원 2023. 6. 16. 00:49
반응형

청년희망적금에 이어 높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대상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씩 5년 간 적금하는 상품으로 기본 납입액은 4,200만원인데요. 높은 이율과 정부기여금을 더해 약 800만원의 혜택을 추가로 볼 수 있어 시중은행의 금리 7~8%의 상품과 비슷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조건

-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별 금리 정리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사항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조건

먼저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

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하는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별 금리 정리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아래와 같이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최종금리 = 기본금리(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간 변동금리 적용) + 은행별 우대금리 + *소득 우대금리(0.5%)

 

*소득 우대금리는 연 총급여가 2,400만원 이하인 경우에 은행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0.5%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은행 별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정리한 표인데, 결국 6.0%로 모두 동일하네요. 다만,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은행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금리 \ 은행별 우대금리 1.7% 1.5% 1.0%
4.5%     신한, 국민, 우리
하나, 기업, 농협
4.0%   대구, 부산, 경남

 
3.8% 광주, 전북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

 

신청자가 몰리는 것을 막기위해 첫 5영업일(15일 ~21일 중 평일)동안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를 시행합니다.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출생연도 끝자리 3, 8 출생연도 끝자리 4, 9 휴일 출생연도 끝자리 0, 5 출생연도 끝자리 1, 6 출생연도 끝자리 2, 7 출생연도에 관계없이 신청가능

 

7월부터는 출생연도에 관계없이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따로 운영한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사항

  • 취급은행을 모두 통틀어서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 은행별 금리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최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꼭 비교해보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적금을 유지중인 분이라면, (청년희망적금의 조건이 좀 더 좋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같은 청년대상 금융상품은 저축습관도 기르고 목돈도 마련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이니 청년희망적금이 없는 분이라면 일단 신청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이만 글을 줄입니다.

728x90